자료실제사절차 기준
제사절차 기준
제목 제사 준비
작성자 관리자 [2017-12-29 16:38:41]
첨부파일
첨부된파일갯수 : 0

제사 준비

 

1.제구 : 제례를 올리는데 필요한 기구

1) 병풍

    제사상의 뒤쪽에 세운다. 현란한 그림이 그려져있거나 경사 잔치에

    관계되는 내용의 글씨가 있는것은 피한다.

 

2) 교의(交椅)

    신주나 위패를 봉안하는 의자로서 제사상보다 조금 높아야한다.

    그러나 요즈음은 보통 신위를 제사상 위에 봉안하고 있으므로 준비하지

    않아도 된다.

 

3) 신위판(神位板)

    제사를 지내는동안 지방을 붙여놓는 기구이다.

    이것은 예전의 신주를 대신하는 것으로 신주 모양의 나무판으로 만들어

    의자나 제상에 세워놓는다.

 

4) 제상(祭床)

    제사음식을 차리는 상으로 120 X 80센티 정도는 되어야 제수 진설에

    적당하다.

    요즈음은 일반 교자상 형태로 준비하여도 좋다

.

5) 향안(香案)

    향로와 향합, 모사그릇을 올려놓는 작은 상으로 제상 앞에 위치한다.

 

6) 주가(酒架)

    주전자나 헌주병, 퇴주기 등을 올려놓는 작은 상


7) 소반(小盤)

    제사음식을 진설하기위해 옮길때 사용한다

.

8) 촛대(燭臺)

    제상에 촛불을 밝히기위해 양초를 꼽는것으로 좌 우 한쌍을 준비한다.

 

9) 향로(香爐)

    향을 사르는 기구, 향을 사르는것은 강신때 양지(하늘)에있는 혼()

    부르기 위한 의식이다

.

10) 향합(香盒)

    향을 담는 그릇

 

11) 모사기(茅沙器)

    모래와 띠 묶음을 담는 그릇, 강신때 뇌주를 여기에 붇는다.

    이는 음지()에있는 넋()을 부르기위한 의식이다.

    모사기에 깨끗한 모래를 담고 띠를 한뼘정도 잘라서 가운데를 붉은실로

    묶어서 모래에 꼽는다. 이것은 땅바닥을 상징하는 것이다.

    묘지에서의 제사는 뇌주를 바로 땅에(보통 묘에) 붓게되므로 모사기는

    사용하지 않는다.

12) 축판(祝板)

    축문을 끼워놓는 판으로 오늘날 결재판이나 힌 봉투를 사용해도 좋다.

13) 자리()

    제상 앞쪽 바닥에 깔기위한 돗자리

 

2. 제기(祭器) : 제사 음식을 담는 그릇

1) 시접(匙楪)

    수저를 올려놓는 대접 모양의 그릇

2) 주발(周鉢)

    메()를 담는 놋그릇

3) 탕기(湯器)

    탕과 국을 담는 그릇

4) 편틀

    떡을 올려놓는 사각형의 틀

5) 수저(匙箸)

    숫가락과 젓가락 제사지내는 신위의 수만큼 시접에 담는다.

6) 잔반(盞盤)

    술잔과 받침대 제사를 지내는 신위의 수만큼 준비한다.

7) 주전자

8) 퇴주기(退酒器)

    빈 대접 하나를 준비한다.

9) 기타 여러음식이나 과일을 담을 목기(木器)

 

3. 제수(祭需) : 제사 음식

1) 젯메(()) : 흰 쌀밥을 주발에 소복하게 담는다.

2) () 또는 메탕(飯湯(반탕)) : 쇠고기, , 다시마를 넣고 맑게 끓여서

    청장(재래식 간장(국간장))으로 간을 하여 갱기나 탕기에 담는다.

3) 삼탕(三湯) : 삼탕을 하려면 육탕은 쇠고기와 무, 봉탕은 닭고기,

    어탕은 북어, 다시마, 두부를 주재료로 탕을 끓여서 건더기만 탕기에

    담는다.

4) 삼적(三炙) : 육적은 쇠고기나 돼지고기를 두툼하고 크게 조각 내어

    양념을 하고 꼬치에 꿰어 석쇠에 굽고, 봉적은 닭의 목과 발을 잘라 내고

    배를 갈라서 펴고 찌거나 기름에 지지고, 어적은 숭어, 조기, 도미 등을

    통째로 소금에 절였다가 굽는다. 삼적은 적틀에 한데 담을 때는

    제일 아래에 어적, 그 위에 육적, 가장 위에 봉적을 담는다.

    이는 바다에 사는 생선을 아래 놓고, 땅 위에서 네 발로 다니는 짐승을

    중간에 놓고, 가장 위에는 하늘을 나는 짐승인 새 대신 날개 있는 닭을

    놓는 것이다.

    닭 대신 꿩을 굽기도 한다. 말하자면 하늘과 땅, 바다라는 우주의 이치를

    나타내고자 한 것이며 산해진미를 다 차린다는 뜻을 지닌다.

    적틀은 가로 24cm, 세로 15cm 정도의 장방형이다.

5) 소적(素炙) : 삼적에 포함시킬 수도 있으며 두부를 크게 저며서

    노릇노릇하게 지져서 따로 한 그릇을 담는다.

6) 향적(香炙) : , 배추김치, 도라지, 다시마 등을 길게 썰어서 꼬치에

    넓적하게 꿰어 밀가루즙을 묻혀서 기름에 지진다.

    여러 장을 겹쳐서 썰어 한 그릇에 담는다.

7) 간납(肝納) : 전유어를 말하는데 대구, 명태 등의 흰살 생선을

    얇게 떠서 전을 지진다.

8) () : 육포, 어포 등을 놓는다. 보편적으로는 북어포를 입 끝과

    꼬리 부분을 잘라 내고 머리가 동쪽에 가도록 놓는다.

    동해안 지방에서는 오징어를 놓기도 하고, 남쪽 지방에서는 대구포나

    상어포를 올린다.

9) () : 식혜의 밥알만 건져 제기 접시에 담고 위에 대추 조각을 얹는다.

    젓갈 식해를 담던 풍습이 변한 것이다.

10) 숙채(熟菜) : 삼색으로 마련하는데 도라지나물(흰색), 고사리나

    고비나물(갈색), 청채는 시금치(푸른색)를 삶아서 무친다.

    한 접시에 삼색을 어울려 담는다.

11) 침채(沈菜) : , 배추, 미나리로 고추를 넣지 않고 나박김치를 담근다.

    제물에는 화려한 색채나 장식을 쓰지 않고 고명을 얹지 않는다.

12) (()) : 시루떡인 메편과 찰편을 높이 고이고 위에 경단, 화전,

    주악 등의 웃기떡을 올린다.

    시루떡의 고물로는 거피팥, 녹두, 깨고물 등을 쓰며, 붉은색 팥고물은

    쓰지 않는다.

    시루떡은 편틀 크기에 맞추어 썰어 가장자리를 직선으로 올리면서

    쌓는다. 편틀의 가장 아래에 메편을 놓고 위에 찰편을 놓은 다음

    웃기떡을 올린다.

13) () : 대추, , , , 사과, 계절 과일 순으로 놓으며,

    조과는 유과, 다식, 정과를 3, 5, 7의 가짓수로 배열한다.

 

이전글 ...
다음글 ...